본문 바로가기

유튜브독후감

[유튜브의 단점] 유튜브 매체의 단점1(총 3부작)

[유튜브의 단점] 유튜브 매체의 단점1(총 3부작)

유튜브의 단점을 같이 찾아보고 생각해 볼까요?

 

'유튜브는 곧 단점입니다.'

유튜브 매체의 단점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바로 유튜브 자체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튜브에 들어감면 마치 뷔페 식당에 온 것과 같이 처음에는 다양한 콘텐츠에 현혹됩니다.

하지만 너무 다양하고 생각보다 맛과 영양소가 떨어지는 볼거리가 많아서 그런지

일종의 '루즈함'을 느끼게 됩니다.

 

기대 이하의 부페식당에 가게 되면,

다양함에도 만족을 못하게 되고, 일품요리에 대한 그리움에 젖어들게 됩니다.

또 누가 차려 놓은 밥처럼,

영화와 같은 완결성 있는 콘텐츠가 생각나곤 합니다.

You Tube, 유튜브 중독 현상, 유튜브 단점

유튜브 수익 창출 시작의 조건을 달아 놓은 것은

어쩌면 품질과 지구력있는 운영을 위해

장치해 놓은 것입니다.

 

구독자수 1000명, 1년간 누적 시간 4000시간,

이 유튜브 수익 승인 조건은 가혹하지만,

전체의 동영상 생태계를 위해서는 이로운 조치였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정부에서 구글코리아에 가짜뉴스를 필터링 요청했다는 것은

요즘 이슈 유튜버, 정치 유튜버들 사이에서 가장 핫이슈로

회자되는 내용입니다.

 

물론 여러 단점 가운데에서도 대체할 수 없는 플랫폼이 된 것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안드로이드 폰에는 기본적으로 유튜브 바로가기가 있는 것도 한몫했다고 생각합니다.

 

극단적인 정치 성향을 드러내거나,

막말을 해서 사회 풍토를 어지럽히는 것은 지양하면 좋겠지만,

구글코리아가 중국에서와 같이 철수하게끔 되는 것은

왠지 슬픈 일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이런 조치가 이루어질만큼 유튜브의 품질과 윤리의식은

한국에서 통용되지 않을 정도로 막 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특정 유튜버를 언급할 필요가 없이

많은 유튜버가 낚시성 썸네일 일변도입니다.

 

유튜브의 단점 제 2부로 이어집니다.

 

[유튜브의 단점] 유튜브 매체의 단점1(총 3부작)